기타 수리 점검 교육 1Day 과정기타 연주와 보관 중에 발생하는 기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즉각 대응 할 수 있는 자가 진단 수리 법을 1Day 과정으로 교육하며 기타 연주 생활의 즐거움과 기타 테크닉을 한 단계 올려주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5명 정원으로 교육 진행되며 매주 월 ~ 금요일 오후 7~ 9시까지 2시간 1일 5명을 정원으로 진행합니다.예약하기
음의 높이[ pitch ]
기타를 기준으로 개방현 6번 스트링 E 음과 12프렛 E 음을 새들을 이용해서 맞춰줍니다.
절대적인것은 아니지만 넥크와 너트 트레몰로 스트링의 상태와 종류마다 달라지므로 기본적으로 새들만 가지고도 피치를 맞춰 연주해야합니다.
물리적으로, 즉 청각 자극으로서는, 음의 진동수차(差)를 뜻하며, 진동수가 많은 음을 높은 음, 적은 음을 낮은 음이라고 한다. 심리적으로, 즉 청각 경험적으로는 진동수의 변화에 따른 경험적 속성(屬性) 상태를 뜻하며, 공간적 고저감, 청탁명암감(淸濁明暗感), 선예둔중감(先銳鈍重感), 조종감(調種感) 등에 의해 음고감(音高感)이 성립된다. 복합음으로서의 고른음에 있어서는, 바탕음의 진동수에 의해 음고감이 성립되며, 시끄런음에 있어서의 음고감 성립은 복잡한 상음(上音)의 영향을 받아 비교적 곤란해진다. 음고감의 변화는 진동수의 변화에 직접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판별역(判別閾)의 법칙에 따른다.
인토네이션[ intonation ]
기타 같은 현악기에서 어느 프렛(指板)을 눌러도 정확한 음정을 낼 수 있는 상태를 ‘인토네이션이 좋다’라고 한다. 인토네이션은 줄의 길이, 네크 및 줄의 상태 등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그 좋고 나쁨이 결정된다. ‘인플렉션(inflection)도 같은 의미로 쓰인다.
여러 가지 두께의 박강판(薄鋼板) 게이지를 조합한 것. 보통 0.02~0.7mm까지의 두께를 가진 것 16장이 한 조로 되어 있다. 몇 장씩을 조합하여 여러 가지 치수의 틈새를 측정하며 기타의 1프렛 0.3 ~0.5mm 7프렛 0.15~0.20mm 14프렛 1.5~20.mm픽업 높이는 2.0~2.5mm 높이를 유지하면 최적의 상태입니다.